36일차
이번주는
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과
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는지?에 대해 많이 알아가는 거 같다ㅎㅎ
오늘도 홧팅~!
데이터 기반 그로스해킹의 중요성
🔶 다음은 사업에서 데이터 없이 의사결정하면 생기는 문제들이다.
- 감에 의존한 마케팅 전략
- 사용자가 어디에서 이탈하는지 모름
- 마케팅 비용 낭비
등등 문제들이 발생 되기에 데이터수집은 필요한 과정인 거 같다.
🔶 정량 데이터 vs. 정성 데이터
✅ 정량 데이터 (Quantitative Data) - 숫자로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
- 방문자 수 (Pageviews)
- 클릭률 (CTR, Click-Through Rate)
- 전환율 (Conversion Rate)
- 세션 지속 시간 (Session Duration)
✅ 정성 데이터 (Qualitative Data) - 사용자의 감정과 경험을 측정하는 데이터
- 사용자 리뷰
- 고객 피드백
- 설문조사
- 감정 분석 (소셜미디어 댓글, 고객 문의 내용)
이 두가지의 데이터 수집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면서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이
그로스 해킹의 첫단계라고 하셨다.
그로스해킹에서
자주 사용하는 핵심 용어
🔶 유입(유저 획득) 관련 용어를 알아보자!
✅ CTR (Click-Through Rate) - 클릭률
광고나 링크를 본 사용자 중에서 실제로 클릭한 비율
🍀예제
CTR = (500 / 10,000) × 100 = 5%
✅ CAC (Customer Acquisition Cost) - 고객 획득 비용
한 명의 고객을 확보하는 데 드는 평균 비용
🍀예제
CAC = 1,000,000 / 200 = 5,000원
🔶 유저 행동 분석 용어를 알아보자!
유입된 사용자는 얼마나 자주, 얼마나 오래 머무는지에 대한 정보가 중요하다.
✅ DAU/WAU/MAU - 일간/주간/월간 활성 사용자 수
- DAU (Daily Active Users): 하루 동안 서비스에 방문한 사용자 수
- WAU (Weekly Active Users): 일주일 동안 방문한 사용자 수
- MAU (Monthly Active Users): 한 달 동안 방문한 사용자 수
✅ Bounce Rate (이탈률) - 첫 화면만 보고 떠나는 비율
방문자가 첫 페이지만 보고 바로 떠나는 비율
🍀예제
이탈률 = (700 / 1000) × 100 = 70%
✅ Session Duration (세션 지속시간) - 사용자가 머무는 시간
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앱에서 머문 평균 시간
🍀예제
A/B 테스트 결과
- 기존 랜딩 페이지 평균 체류 시간: 30초
- 새로운 랜딩 페이지 평균 체류 시간: 2분
새로운 페이지가 더 효과적임을 확인
🔶 전환과 수익 관련 용어를 알아보자!
고객들이 실제로 구매(전환)하고, 서비스에 계속 머무는지에 대한 용어다.
✅ Conversion Rate (전환율)
방문자가 실제 가입/구매로 이어지는 비율
🍀예제
1,000명이 방문했는데 50명이 회원가입을 했다면
전환율 = (50 / 1000) × 100 = 5%
✅ LTV (Lifetime Value) - 고객 생애 가치
한 명의 고객이 서비스에서 발생시키는 총 매출
🍀예제
평균 구매 금액 5만 원 × 연 3회 구매 × 2년 이용
➡️LTV = 30만 원
✅ Churn Rate (이탈률)
기존 고객이 서비스를 떠나는 비율
🍀예제
한 달 동안 1,000명의 고객 중 200명이 서비스 사용을 중단
Churn Rate = (200 / 1000) × 100 = 20%
유입과 사용자행동 분석, 전환과 수익의 대한 용어를 알아두면
사용자들의 데이터를 분석할 때 더 자세하게 알 수 있을 거 같다 :)
🔶 데이터분석도구구글애널리틱스 - 웹사이트 방문자 분석 도구
주요기능
- 실시간 방문자 분석 (Real-Time Report)
- 유입 경로 분석 (Acquisition Report)
- 사용자 행동 분석 (Behavior Report)
- 전환 분석 (Conversion Report)